로또 1등 당첨된다면
우리는 매주 토요일을 기다리며 로또를 사러가는 일이 생활 속에 흡수가 되어버렸다. 안사면 찝찝하고 사면 기대감에 한 주를 버티곤 결과를 보고 실망감에 빠져 다시 한 주를 기다리며 반복된 흐름 속에 살아가고 있다. 나는 언제쯤 로또 1등 당첨이 될까? 이번 주는 나일까?라는 상상 속에 매주 당첨되는 사람들을 보면서 진짜 당첨이 됐는가 의심도 들지만 매주 로또를 사러 간다. 사람마다 생각 차이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입을 하는데 나는 나를 믿기 때문에 수동으로 구입한다. 하지만 5등도 되기 힘든 로또, 한 번씩 나를 의심하고 자동으로 구입할 때도 많다. 로또 번호가 발표될 때마다 항상 드는 생각이 45개 숫자 중에 대충 적어도 몇 개는 맞을꺼같은데 하지만 5천원 한 장에 하나도 없는 경우도 태반이다.
그럼 지금 부터 로또 세금은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로또 1등 세금 얼마나 내야할까?
복권에 당첨된 경우, 5만원 초과 당첨금에 대해서만 세금을 내게 됩니다.
복권 당첨금은 소득세법에 의해 분리과세됩니다. 당첨금 전액에 대한 과세가 아닌 복권을 구입한 비용을 제외한 금액에 대해서만 과세를 합니다.
세율은 3억원까지 기타 소득세 20%와 주민세 2%(기타소득세의 10%)를 합한 22%이며, 3억원 초과는 기타소득세 30%와 주민세 3%를 합한 33%를 원천징수합니다.
예) 로또 1등 당첨 금액 10억원 실수령액 과세대상금 1,000,000,000원 - 1,000원(구입비용) = 999,999,000원 3억원 까지 22% 300,000,000 * 0.22 = 66,000,000원 3억원 초과 33% 699,999,000원 * 0.33 = 230,999,670원 총 세금 296,999,670원 실수령액 1,000,000,000원 - 296,999,670 = 703,000,330원 |
5등은 6개의 번호 중 최소 3개의 번호를 맞추게 되면 5,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5등은 로또 판매점에서 로또로 교환하거나 현금으로 수령 가능합니다.
4등은 6개의 번호 중 최소 4개의 번호로 50,000원으로 5등과 마찬가지로 로또 판매점에서 교환 또는 현금 수령 가능합니다. 4등과 5등은 세금이 없습니다. 당첨금을 보존해서 수령받을 수 있습니다.
3등은 6개 번호 중 최소 5개를 맞춰야 하는데 생각보다 많이 맞춰야 하는 거 같아서 개인적으로 3등이 제일 아쉬운 등수라고 생각합니다. 주위엔 3등 당첨된 분들이 몇 분 계셔서 나도 당첨될 수 있다고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150만원 정도의 당첨금이고 세금 22%(기타소득세 20% + 주민세 2%)를 제외하고 지급합니다. 당첨 됐을 시 대략 120만원 전후가 되겠습니다.
2등은 보너스 번호 포함 6개를 맞춰야 합니다. 당첨금은 3억원 이하이기 때문에 22% 세금이 부과됩니다. 번호를 다 맞추긴 했지만 보너스 번호를 맞춘 바람에 1등이 물 건너갔습니다.
대망의 1등은 6개 번호 중 6개 모두 맞춰야 합니다. 33%의 세금이 부과되는데 3억원 까지는 22% 그 이상의 금액에 33%가 적용되므로 생각했던 것보다는 세금이 적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5년 전만 하더라도 1등 당첨금이 20억은 훌쩍 넘었는데 요즘엔 10억 안팎으로 당첨이 많이 됩니다. 그만큼 당첨된 수가 많다는 말입니다. 저번 주 로또 당첨결과를 보면
저번 주는 여덟 분이 당첨되셔서 평균보다 1등 금액을 조금 더 수령해 가셨겠네요. 저와 마찬가지 1등 당첨되면 무엇부터 할까 여행부터 갈까 저축부터 할까 다들 똑같이 상상을 해보셨을 겁니다. 희망을 잃지 말고 매주 로또 1등을 되길 바라며 좋은 꿈 꾸시길 바라겠습니다. 전 국민 모두가 1등 되는 그날까지 파이팅합시다.
'생활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민등록증 분실 신고 쉽게 하는 방법 (0) | 2022.12.14 |
---|---|
티스토리 다음 통누락 확인 방법 (0) | 2022.12.10 |
jpg 파일 pdf 파일로 쉽게 변환 하는 방법 (0) | 2022.12.09 |
국립공원 흡연과 비닐봉투 과태료 인상 60만원에서 최대 300만원 (0) | 2022.12.05 |
정부지원 최대 37만원 신청과 건강검진 과태료 변경 (12월 31일까지) (0) | 2022.12.05 |
댓글